문학: 상어체험 (초등학교)

“우리 수업에서 학생들은 전 세계에 서식하는 상어에 대해 조사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키워드와 상어와 관련한 어휘들을 학습했고, 학생들은 상어 전문가가 되어 특정 상어에 대한 정보 전달 글쓰기를 하는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Laura Obando
Elementary School Teacher
수업 설명
저는 학생들에게 상어 체험에 대해 일기를 쓸 것이라고 미리 예고했습니다. 학생들은 본인이 상어를 찾아 헤매는 잠수부라고 가정하여, ClassVR 을 통해 본 것과 지금까지 상어에 대해 배운 내용을 사용했습니다. 우선 서식지, 산호초, 포식자 등 상어의 삶과 연관된 단어들을 복습했습니다. 그런 다음 학생들에게 그들의 첫 VR 체험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먼저, ‘자연으로의 탐험’이라는 영상을 보여주고, 영상에서 무엇을 볼 수 있는지 질문했습니다. 학생들은 짝을 지어, 본 것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다음으로, ‘쿠바에서 상어와 함께 다이빙’과 ‘뉴칼레도니아의 상어’ 영상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에는 학생들이 생각나는 형용사 어휘를 쓰고, 본 내용을 설명하도록 했습니다. 그 다음에, ‘상어 체험’ 영상을 틀어주었습니다. 학생들은 그룹을 지어, 느낀 점을 공유했습니다. 저는 학생들에게 그래픽 오거나이저를 주고 생각을 정리해보라고 했습니다. 그래픽 오거나이저에는 ‘무엇을 보았는가?’ ‘내가 본 것에 관한 형용사’, ‘느낀 점’, ‘필요한 어휘’ 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쓰기 활동에 사용할 것을 대비해, ‘ 백상아리’ 영상도 볼 수 있었습니다. 글쓰기 뼈대를 잡고 나서, 학생들은 초안을 쓰고 이후에는 일기를 공유하였습니다.
교육 효과
물 속에서 상어를 관찰하고 탐구하는 경험으로 인해 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학생들은 처음으로 상어의 삶을 볼 수 있었는데, 이 모든 것이 교실에서 가능했습니다. 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도와 몰입도가 굉장히 높았습니다. 학생들은 생각을 빠르게 종이에 정리하고, 많은 학생들이 이전에 쓰던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글을 썼습니다. VR 체험이 없었더라면, 학생들이 해당 주제로 글을 쓰는 데 많이 어려워했을 것 같습니다. VR 경험으로 인해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상세한 글쓰기 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